파워 서플라이는 케이스안에 장착되어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해 줍니다. 파워 서플라이에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지 못하면 자주 컴퓨터가 다운되거나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즘 PC는 전기 잡아먹는 애물단지 같습니다. CPU와 그래픽 카드 등 주요 부품의 소비 전력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PC는 전기가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만 작동이 원활하게 되기 때문에 데스크톱 PC 사용자들은 기본으로 400W 이상급의 파워 서플라이를 찾게되는데요. 정말 600W 이상의 파워 서플라이가 필요할지 내 PC에 꼭 맞는 서플라이 용량부터 계산해야 되는데요.
익스플로러를 실행한 다음 아우터비전 익스트림 사이트(www.extreme.outervision.com)에 접속하여 Power Supply Calculator을 통하여 용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CPU와 그래픽 카드 등 주요 부품의 소비 전력이 높아지자 PC의 심장인 파워 서플라이의 용량이 무조건 커야 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파워 서플라이 용량이 600W 이상인 것을 찾는 사람도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바로 확인했듯이 필요한 파워 서플라이 용량이 생각보다 적게 나왔을 것입니다. 실제로 500W 정도의 파워 서플라이라면 최신 부품이어도 넉넉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PC를 구입할 때는 최신 부품을 사용한다면 600W 이상급의 파워 서플라이를 권합니다. 이유는 500W짜리 파워 서플라이가 실제 500W를 출력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는 저가형 파워 서플라이 중에는 짧은 순간 낼 수 있는 최대 출력을 지속적으로 고르게 내는 정격 출력으로 속여 파는 파워 서플라이도 있습니다.
하지만 인증된 고급형 파워 서플라이는 부하가 걸렸을 때도 110~130%까지 출력을 내기 때문에 파워 서플라이를 구입할 때는 용량이 큰 값싼 제품보다는 이름난 제조회사의 파워 서플라이를 구입하는 것이 PC의 안정성을 높이는 현명한 방법입니다.
필요한 파워 서플라이의 용량을 확인하고 파워 서플라이를 따로 구입할 때는 '정격'으로 계산된 용량의 파워 서플라이를 구매하면 됩니다. 보통 파워 서플라이의 사양을 500W, 600W 등으로 표시하는데 이 수치느 정격 출력이 아닌 최대 출력 개념입니다. '정격'은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는 전력 용량을 말합니다. 에너맥스, 세븐팀, 시소닉 같은 명성 있는 파워 서플라이는 정격으로 용량을 표시합니다.
파워 서플라이를 고를 때는 24핀을 지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워 서플라이는 업그레이드해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므로 가격이 저렴하다고 20핀을 지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현 시점에서는 24핀 지원 파워 서플라이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판단입니다.
그래픽 시스템을 위한 6핀, 8핀 전원 커넷터의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엔비디아의 SLI 시스템이라면 고성능 그래픽 카드를 위한 별도의 전원 단자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중, 고급형 이상 그래픽 카드에는 대부분 추가 전원 단자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PCI 익스프레스 16x 지원을 위한 6핀 커넥터가 제공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만일 SLI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없다면 이 기능은 제공되지 않아도 됩니다. 라데온 그래픽 카드는 보통 6핀 전원 커넥터와 함께 8핀 전원 커넥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8핀 전원 커넥터를 가진 파워 서플라이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6핀 전원 커넥터만 연결해 사용해도 문제 될 것이 없지만 그래픽 카드의 자체 오버 클럭 메뉴인 '오버 드라이브' 기능을 사용하지는 못합니다.
파워 서플라이의 냉각팬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은 파워 서플라이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파워 서플라이 제조회사들은 소음을 낮추기 위해 내부의 센서를 이용,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많이 선택합니다. 하지만 소음을 처리하기 위한 더욱 근본적인 해결책은 바로 발열 자체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발열이 많이 않다면 팬이 빠른 속도로 회전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파워 서플라이에 공급되는 전력과 변환 해낸 출력의 차이를 줄여 불필요한 열의 발생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즉, 220V를 PC에서 사용하여 5V, 12V 등으로 변환하는 '변환효율'이 높다면 같은 전력을 생산해 내는데 필요한 전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그만큼 발열이 감소합니다. 이처럼 소음과 발열은 쉽게 체감할 수 있는 만큼 제품 만족도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변환 효율이 어느 정도인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다만 소음을 줄이기 위해 어떤 기술이 사용됐는지 소움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지 살펴보면 됩니다. 시중에 무소음이라고 광고하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이런 무소음 파워 서플라이는 확실히 제품의 소음이 적습니다. 완벽한 무소음은 아니고 저소음이라고 해야 옳습니다. 무소음이라고 광고하는 파워 서플라이를 구입할 때 주의할 점은 너무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선택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저소음 방식의 대부분은 팬 속도 고정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파워 서플라이에 부담을 주는 제품이 있기 때문입니다. 가능하면 가격 부담이 있더라도 전력 사용량에 따라 팬 속도를 조절하거나 불필요한 팬의 작동을 제어하여 소음을 줄이는 기능을 가진 제품이 좋습니다.
파워 서플라이에 메인보드에 꽂는 커넥터를 보면 노치가 있어 꽂고 뽑기가 편합니다.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 중 하드디스크나 광학 드라이브에 전원을 연결하는 5핀 커넥터는 꼽고 뽑기가 매우 힘듭니다. 그래서 파워 서플라이 제조회사들이 조립이 편리하도록 4핀 커넥터를 푸쉬 타입으로 만들었습니다. 다른 말로 EZ 커넥터라고 합니다. 이 커넥터를 사용하면 빠르고 쉽게 제거가 가능합니다. 동일 가격에 동일한 용량이라면 4핀 커넥터가 EZ 커넥터로 제공되는지 확인해 조립하기 편리한 제품을 선택하세요. 시리얼 ATA 커넥터 또한 쉽게 빠지지 않고, 연결하기 쉽도록 커넥터를 90도 꺾인 형태로 디자인한 제품도 있습니다.
파워 서플라이는 과전압과 과전류 방지를 위한 회로, 전자파 차단을 위한 회로 및 커버 등을 포함합니다. PC 부품의 회로나 장치가 합선되거나 PC 부품들이 전원 공급 장치의 한계를 초과하는 전원을 요구하면 전원 공급 장치에 과부하가 걸립니다. 전원 공급 장치는 이런 경우 전원을 차단해 PC 부품들이 타거나 망가지지 않도록 회로 보호 기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런 회로 보호 기능이 제대로 되는 제품인지를 확인하세요.
파워 서플라이는 같은 급의 제품 사이에서도 가격 편차가 심합니다. 이능 성능 외에 A/S와 같은 부가적인 요소에 편차가 크기 때문입니다. 특히 최근에 출시된 전원 공급 장치들은 성능이 뛰어난 만큼 가격이 만만치 않아 그만큼 A/S도 중요합니다. 무상 서비스 기간은 어느 정도인지 제품 이상 시 교환과 수리는 쉽게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 다음 제품을 구입하세요. 파워 서플라이의 일반적인 무상 보증 기간은 대부분 1년이지만 고급형 제품인 경우 기간이 2~3년으로 연장되고 있습니다.
댓글